총 10문제
1번. DBMS
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. (Database Management System)
파일 관리 시스템의 단점을 개선하여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소프트웨어
장점
- (기본키로 인해) 중복이 줄어듬.
- (외래키) 데이터 불일치 피함.
- 독립성 유지 (프로그램 언어가 틀려도 문제 없음.)
- 형식의 표준화
- 보안과 무결성(다른 쪽에 있는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걸 막아줌) 유지
단점
- 시스템 이용 비용 발생
- 파일관리 시스템보다 속도가 느림.
2번 트랜잭션이란
: 전산 작업의 기본 단위
분할할 수 없는 최소 단위 -> 문제가 생길 시 전부 취소가 됨.
조회(select)만 하는 경우 트랜잭션이라고 치지 않음. (but 조회를 통해 update 하는 경우 트랜잭션임)
입력, 삽입, 삭제의 경우에만 트랜잭션이라고 함.
트랜잭션의 제어문
- COMMIT : 정상적으로 트랜잭션 종료
- ROLLBACK : 변경사항 취소 후 종료
- SAVEPOINT : 트랜잭션 중 ROLLBACK 시킬 위치 지정, 하나가 될수도 여러개가 될 수도 있음.
3번
릴레이션 : 테이블
튜플 : row, 행, 레코드
속성 : 컬럼, 열, attribute, 필드
도메인 : 각각의 속성들이 가질 수 있는 값들의 집합
4번 키의 종류
후보키 : 테이블에서 튜플을 구별할 수 있는 하나, 그 이상의 컬럼
기본키(PK) : 튜플을 식별하는데 기준으로 사용되는 키
대체키 : 기본키를 제외한 후보키
복합키 : 두 개 이상의 컬럼이 모여 기본키의 역할을 하는 키
외래키(FK) : 테이블을 연결 시켜주는 키. 데이터의 불일치를 막아줌. 부모 테이블과 자식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음.
5번 데이터 무결성
1. 참조 무결성
자식 테이블에 데이터 입력, 수정 시 부모테이블을 검증.
부모 테이블의 경우 자식테이블과 같이 검증.
2. 개체 무결성
PK는 중복의 값은 안 되며, null 값을 가짐 안됨.
3. 도메인 무결성
도메인에 지정된 값만을 가져야 함.
6번 뷰
뷰란 가상 테이블.
가상 테이블을 만드는 이유 : 특정 사용자나 조직의 관점에서 데이터를 바라볼 수 있음.
7번 SQL 명령 3가지
DML (data manipulation language) - 조작어
: select, insert, delete, update
DDL (data definition language) - 정의어
: create, alter, drop
DCL (data control language) - 제어어
: grant, revoke, commit, rollback
8번 데이터 모델링 3단계
개념데이터모델링 : 엔터티를 추출하는 과정, ERD 생성.
논리데이터모델링 : 속성 정의, 식별자 확장, 정규화(중복을 없게함)
물리데이터모델링 : 스키마(데이터 구조) 결정, 칼럼의 데이터 타입과 크기 결정.
9번 LAN이 무엇인지
LAN : Local Area Network, 근거리 통신망, 모든 통신망에 근간이 됨.
IOT : Internet of Things, 사물 인터넷(모든 사물들을 인터넷으로 엮음)
디폴트 : 기본
null : 아무것도 없는 값
10번 pk 만드는 법
constraint 임의의 이름 primary key (속성명)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트워크] 네트워크 IP와 크롤링 방법 (0) | 2024.07.30 |
---|---|
[JDK&톰캣] 개발 환경 구축하기 및 JDK1.8과 톰캣, 이클립스 파일 다운로드 (0) | 2024.03.25 |
[Eclipse] 이클립스 단축키 등록 (0) | 2023.12.05 |
[Oracle SQL Developer] 줄 번호, 오른쪽 여백 표시 설정 변경 (0) | 2023.12.04 |
[Eclipse] 이클립스 단축키 (2) | 2023.12.03 |